2025년 7월부터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이 정식 도입되면서, 실물 카드 없이도 NFC 터치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, 오늘 자세히 확인해볼께요!
📢 민생지원금, 여기 사용 가능! 주의사항 확인 안 하면 내 통장 잔고로 결제됩니다!
아이폰 애플워치 티머니 교통카드 설정과 사용법, 장단점 완벽 가이드🚀
2025년 7월부터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이 정식 도입되면서, 실물 카드 없이도 NFC 터치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아이폰 애플워치에 티머니 교통카드를 설정하는 방법부터 실제 사용하며 느낀 장단점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.
🎯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설정 방법
1) 아이폰 설정 방법
먼저 아이폰에서 기본 앱인 지갑(Wallet) 앱을 실행합니다.
화면 오른쪽 상단의 '+' 버튼을 눌러 '교통카드'를 선택하면 티머니 카드가 나타납니다.
티머니를 선택한 후 안내에 따라 본인 인증 및 초기 충전 금액 설정을 완료하면 등록이 끝납니다.
충전은 현대카드 애플페이를 통해 가능합니다.
2) 애플워치 설정 방법
애플워치에서는 아이폰과 동일하게 Watch 앱을 열고 '지갑 및 Apple Pay' 메뉴에서 '카드 추가'를 선택한 뒤 티머니 카드를 추가합니다.
단, 아이폰과 애플워치는 같은 티머니 카드를 공유할 수 없으니 두 기기에 각각 티머니 카드를 따로 등록해야 하며, 한쪽에서 카드를 추가하면 다른 쪽에서는 해당 카드가 삭제됩니다.
설정 완료 후에는 지갑 앱에서 티머니 카드를 선택해 익스프레스 모드를 활성화하세요.
이 모드를 켜면 Face ID나 암호 입력 없이 단말기에 바로 가져다 대기만 해도 결제가 가능한 편리함을 누릴 수 있습니다.
👍 실제 사용하며 느낀 장단점
가장 큰 장점은 스마트폰과 애플워치만으로 대중교통 탑승이 가능해져 지갑이나 실물 카드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
택시, 지하철, 버스 등 대부분의 대중교통 수단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식 속도를 경험할 수 있어 출퇴근 시 매우 효율적입니다.
또한, 잔액 부족 시 사전에 설정한 금액으로 자동 충전되는 세계 최초의 기능이 도입되어 잔액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, 실시간 잔액 확인과 사용 내역 조회도 가능해 가계 관리에 도움됩니다.
단점으로는 아이폰과 애플워치 각각 별도의 카드를 등록하고 충전해야 하므로 가족 공용이나 여러 기기 사용 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.
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면 교통카드 기능도 사용할 수 없으므로, 외출 전 충전 상태를 꼭 확인해야 하며, 배터리가 부족해도 최대 약 5시간까지는 익스프레스 모드로 사용 가능합니다.
⚠️ 주의사항
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 티머니 교통카드를 편리하게 쓸 수 있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
1) 기기 호환성 확인: 아이폰은 iOS 17.2 이상, 애플워치는 watchOS 10.2 이상이 설치된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2) 결제 수단 제한: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카드로만 티머니 충전이 가능하며, 다른 카드로 충전하려면 모바일 티머니 앱을 이용해야 합니다.
3) 동일 카드 동시 사용 불가: 하나의 티머니 카드는 아이폰과 애플워치 중 한 기기에서만 등록되고, 동시 사용은 지원되지 않습니다.
4) 배터리 관리: 배터리가 완전히 소진되면 결제가 불가하니 출발 전 충분한 충전을 권장합니다.
5) 분실 시 즉시 원격 잠금: 기기 분실 시 ‘나의 찾기’ 기능을 활용해 카드 사용을 차단하세요.
이 외에도 설정 중 문제가 있거나 결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기기 재시작, 익스프레스 모드 설정 확인, 애플 및 티머니 고객센터 문의를 추천드립니다.
후불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, K패스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래 내용도 함께 확인해보세요!